[리눅스] Red Hat Linux 와 CentOS 란?
사실 내용의 100%를 온전히 받아드린것은 아니다.
뭐 다들(?) 그러겠지만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는 내용이 더 많다.
프로그래머의 숙명인 WHY, HOW, WHAT, ABOUT 에 대한 답답함을 조금 풀어 갔으면 한다.
■ Red Hat Enterprise Linux(RHEL)
RHEL 은 Red Hat 사가 개발하는 상업용 리눅스 배포판으로 Intel 과 AMD 의 x86(32bit)과 x86-64(64bit) 아키텍처가 주요 플랫폼이며 추가로 IBM POWER 와 IBM System Z & S/390 아키텍처도 지원하고 있다. 버전 5까지 Intel의 Itanium 플랫폼도 지원했으나 6부터 제외가 되었다.
소스는 공개되지만 매년 기술 지원에 대해 비용을 지불해야 사용할 수 있는 서브스크립션(subscription) 라이선스이며 구매한 고객들은 문제 발생시 기술 지원과 OS 나 SW 의 패치와 업그레이드를 받을 수 있다.
주요 목표는 기업 환경에 맞게 안정성과 성능, 보안성을 최우선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철저하게 검증된 기능과 패키지만 배포본에 포함시키고 있다.
하지만 안정성 중시에 따라 내장된 패키지가 오래된 버전인 경우가 많아서 새로운 개발 도구나 프레임워크등을 사용하려면 기반 도구부터 패키지까지 별도로 설치와 업그레이드를 해 주어야 하는 경우도 많다.
RHEL의 안정성은 유명하여 Oracle 사의 Linux 배포본인 Oracle Linux도 RHEL 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아마존 웹서비스에 사용되는 Amazon Linux AMI 및 라우터등의 다양한 어플라이언스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RHEL 은 특정 버전의 페도라(Fedora) 리눅스 배포판을 기반으로 하여 검증되고 안정화된 코드를 채택하여 개발된다. 또 기반이 된 페도라의 이후 버전에 추가된 기능이라도 중요하거나 유용하다면 해당 기능들을 RHEL로 역이식(backport)하기도 한다.
■ CentOS
CentOS는 Community Enterprise Operating System 의 약자로 Red Hat 이 공개한 RHEL의 Source 를 가져와서 Red Hat 의 브랜드와 로고를 제거하고 컴파일하여 만드는 배포본이다. RHEL 의 소스를 거의 수정없이 사용하므로 RHEL 과 OS 버전, Kernel 버전, 패키지 구성이 똑같고 바이너리가 100%로 호환된다.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문제 발생시 커뮤니티를 통해 지원된다. RHEL 사용시 가장 중요한 기능중 하나인 Yum 저장소도 제공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포탈사이트나 IDC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등을 통해 mirror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Web Server 로 인기가 높으며 업무의 중요도에 따라 RHEL 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로 Web Server 는 CentOS, WAS 와 DBMS는 RHEL 의 조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버그나 보안 패치가 RHEL 보다 늦게 나오며 문제 발생시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점이다.
※ 참고
https://www.lesstif.com/linux-infra-book/red-hat-linux-centos-20775405.html |